최신 뉴스 & 상식

심폐 정지(심정지) 란? 증상과 위험성, 심폐 소생술에 대하여

The Current 2022. 7. 8. 14:20
반응형

 

심폐 정지 (혹은 심정지)란?

 

  • 말 그대로 심장이 갑자기 멈춘 상태
  • 지병이나 갑작스러운 사고로 인해 혈액이 정상적으로 뇌로 공급되지 못하면서 신체기관의 작동이 멈추는 것. 
  • 심폐 정지는 발생 후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10분 이내에 사망에 이르게 될 정도로 생명에 위협적이다. 

 

 

 

 

 

아베 신조

 

 

 

 

 

심폐 정지 상태 증상

 

  • 맥박이 뛰지 않음
  • 의식이 없음
  • 눈이 뒤집힘
  • 호흡이 어려워 피부가 창백해짐

 

 

 

 

 

 

심폐 정지의 위험성

 

우리의 뇌 세포는 짧은 5분 이내의 시간이라도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심폐 정지의 경우 뇌로 가는 혈액이 제대로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제 시간에 적절한 심폐 소생술이 실시되지 않으면 뇌세포 기능을 잃게 된다. 

 

 

 

 

심장이나 간, 콩팥 같은 장기들은 몇 시간까지도 버틸 수 있지만, 뇌는 단 몇분 만에 그 기능을 잃기 시작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응급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된다. 

 

 

 

 

 

아베 신조

 

 

 

 

심폐 소생술의 중요성

 

심폐 소생술이란 심정지 또는 심장마비 환자에게 하는 응급처치로, 임시로 멈춘 환자의 심장과 폐를 대신해서 혈액순환과 호흡을 보조해주는 것이다. 혈액순환을 위해서 심장압박을, 호흡 보조를 위해서 인공호흡과 함께 진행된다. 

반응형